호기심천국

클릭을 하셔야 원글 보기가 가능합니다.

Click!

2025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대상, 재산기준까지 총정리!

작성자 정보

  • 일상생활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근로소득은 있지만 소득이 낮아 생활이 빠듯한 분들을 위해 마련된 2025 근로장려금 제도, 알고 계셨나요?
최대 3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지만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
신청기간, 자격요건, 소득기준, 재산기준까지 복잡하게 느껴지시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 근로장려금에 대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신청방법부터 유의사항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 핵심 요약

✅ 신청기간: 2025년 5월 1일 ~ 6월 2일(정기 신청)
✅ 지원금액: 최대 330만 원 (가구 형태에 따라 차등 지급)
✅ 소득요건: 단독 2,200만 원 / 홑벌이 3,200만 원 / 맞벌이 4,400만 원 이하
✅ 재산기준: 2024년 6월 1일 기준 2억 4천만 원 미만
✅ 신청방법: 안내문, 홈택스, 손택스, ARS 등 다양하게 가능


✅ 2025 근로장려금이란?

2025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낮은 가구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2024년 귀속 소득을 기준으로 심사하며, 5월부터 6월까지 신청 후 가을에 지급됩니다.

  • 단독가구: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최대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30만 원

소득이 낮을수록 높은 금액을 받는 구조이며, 총급여액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단, 근로소득자 외에도 사업·기타소득자도 포함되며, 소득 외에도 재산요건이 중요합니다.


✅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 및 소득 요건

???? 1. 소득 기준

2024년 한 해 동안의 총 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단독가구: 연 2,200만 원 이하

  • 홑벌이 가구: 연 3,200만 원 이하

  • 맞벌이 가구: 연 4,400만 원 이하

2025년에는 전년도보다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가구가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 **무소득자(0원 소득)**는 해당되지 않으며, **모든 소득원(근로·사업·이자·배당 등)**을 합산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 2. 홑벌이 가구 인정 조건

  • 배우자 연소득 300만 원 미만

  • 배우자 없음 + 부양자녀 or 70세 이상 직계존속 동거 + 소득 100만 원 이하


✅ 2025 근로장려금 재산기준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 기준도 필수 조건입니다.

  • 기준일: 2024년 6월 1일

  • 재산총액: 2억 4천만 원 미만 (가구 합산)

  • 대상 자산: 주택, 토지, 건물, 자동차, 예금 등

???? 주의사항: 부채는 차감되지 않으며, 자동차는 비영업용 기준 시가로 산정됩니다.
기준을 넘을 경우 감액되거나 지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홈택스를 통해 사전 조회를 추천드립니다.


✅ 근로장려금 신청 기간

???? 1. 정기 신청

  • 2025년 5월 1일 ~ 6월 2일

  • 보통 7월~8월 사이 지급, 최대 9월 말까지

???? 2. 기한 후 신청

  • 6월 3일 이후 신청 가능

  • 단, 감액 및 지급 지연 가능성 있음

???? 3. 반기 신청

  • 근로소득자에 한해 가능

  • 예) 상반기 소득 → 9월 지급, 하반기 소득 → 익년 3월 지급

???? 사업소득자와 종교인 소득자는 반기 신청이 불가하니 주의하세요!


✅ 2025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 1. 안내문 수신자

  • 국민비서, 네이버, 카카오, KT 메시지 등으로 안내문을 받은 경우

  • QR코드 또는 전용 링크를 통해 간단히 신청 가능

???? 2. 홈택스 / 손택스 이용

  • 홈택스(PC), 손택스(모바일) 로그인

  • 근로장려금 신청 조회’ 메뉴에서 대상 여부 확인 → 신청 진행

???? 3. 전화 신청(ARS)

  • 국세청 자동안내 ARS를 통해 신청 가능

  • 신청 편의를 위해 자동신청 동의 시 2년간 간편 신청 가능


✅ 마무리 안내: 꼭 신청하세요!

2025 근로장려금은 단순한 혜택이 아닌, 정부가 마련한 중요한 생활지원 제도입니다.
자격 요건이 조금 까다로울 수 있지만, 정확히 파악하면 손쉽게 신청 가능합니다.

소득이 적더라도, 꼭 대상 확인 후 신청해서 받을 수 있는 지원은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가구형태와 재산 기준까지 잘 따져보시고, 최대 330만 원의 지원금을 놓치지 마세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