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가지 심리학 실험으로 알아보는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
작성자 정보
- AiNet24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4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1. 마샬 유니버시티의 스탠퍼드 감옥 실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1971년에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교 심리학 교수인 필립 제러드가 이끈 연구입니다. 이 실험은 감시자와 수감자로 역할을 나눠서 감옥 시뮬레이션을 통해 인간 행동에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제러드 교수는 참가자들을 임의로 감시자와 수감자로 나누고, 가짜 감옥을 만들어 실제 수감자들과 경찰과의 충돌을 모방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감자들은 정서적, 정신적 고통을 겪었고, 감시자들은 권위와 권력을 오용하며 인간의 도덕적 윤리를 무너뜨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로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인간 행동에 미치는 권위의 압력 및 환경 요인이 어떻게 변화를 일으키는지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제시했습니다.
2. 아슉의 병원 실험
아슉의 병원 실험은 1973년에 심리학자 데이비드 로젼필드가 진행한 실험이다. 이 실험은 정상인을 8일 동안 입원시킨 가짜 병원에서 진행되었다. 실험은 가짜 병원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환자와 간호사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인간의 행동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실험 참가자들은 정상인들 중 신경증세가 없는 사람들로 이루어졌고, 이들에게는 각자 역할이 정해졌다. 환자와 간호사, 그리고 심층적 상담가로 역할 분배되었다. 실험 결과, 가짜 병원 안에서 간호사들은 예상과는 달리 환자들에게 특정한 신상정보를 주지 않았지만, 환자들은 이를 상담가 및 간호사들이 이미 알고 있다고 믿게 되었고, 이로 인해 환자들은 간호사 및 상담가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게 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인간의 행동이 어떻게 주변 환경 및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은 고찰을 제시해주었다.
3. 밀그램의 복종 실험
밀그램의 복종 실험은 20세기 중반에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자 스탠퍼드 박사에 의해 설계된 실험이다. 이 실험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권위에 대항하는 능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실험 참가자들은 ‘교사’와 ‘학생’으로 나누어졌고, ‘교사’는 ‘학생’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요구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전기 충격은 가짜였고, ‘학생’은 연기를 통해 아픔을 표현했다. 이 실험은 교육적인 목적을 가졌으며, 사람들이 타인의 명령에 어떻게 복종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많은 참가자들이 실험자의 명령에 따르며 가짜 전기 충격을 가하며, 자신의 윤리적인 가치관을 무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밀그램의 복종 실험은 인간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사회적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깊은 이해를 제공한 실험이며, 이후의 다양한 연구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4. 페스티지 바종의 어린이 도서관 실험
페스티지 바종은 1969년에 어린이들의 독서 습관과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해 탐구하기 위해 어린이 도서관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은 4종류의 책을 갖고 있는 도서관에서 진행되었는데, 이 중 3종류의 책은 아주 일반적이고 흥미로운 내용이었지만 1종류의 책은 마치 시험지처럼 지루하고 무미건조한 내용이었습니다. 어린이들에게 책을 골라서 읽어보라고 했고, 페스티지 바종은 어린이들이 어떤 종류의 책을 선택하는지를 관찰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어린이들은 대부분의 경우 일반적이고 흥미로운 내용의 책을 선택했으며, 지루하고 무미건조한 책을 선택한 경우는 매우 적었습니다. 이를 통해 어린이도 자유로운 선택 시 의사 결정 과정에서 흥미로운 선택지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5. 도스토에프스키의 노말캐스트 실험
도스토에프스키의 노말캐스트 실험은 인간의 평범한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주어진 역할에 따라 ‘감시자’와 ‘종업원’으로 나누어졌다. 감시자는 종업원의 성과를 평가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을 맡았다. 종업원은 작업을 수행하면서 감시자의 피드백을 받았고, 감시자는 감시하는 입장에서 효과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는 방법을 탐구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인간 간의 권위와 종속성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며, 인간 행동의 이면에 있는 다양한 요인을 밝혀내는 데 기여한다. 도스토에프스키의 노말캐스트 실험은 인간의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실험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6. 스필버거의 소셜 머플링 실험
스필버거의 소셜 머플링 실험은 사람들이 소수 의견을 가진 사람을 무시하거나 배척하는 현상을 연구한 실험이다. 실험 참가자들은 그룹에서 소수 의견을 가진 사람으로 위치시켜지고, 이때 소수 의견을 가진 사람은 자의적인 태도나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 의견을 따르는 경향을 보였으며, 소수 의견을 가진 사람을 무시하거나 배척하는 행동을 보였다. 이 실험은 다수의 압력이 개인의 판단이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데 기여하였으며, 소셜 머플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7. 콰이스트의 타임 리쿼젠시 실험
콰이스트의 타임 리쿼젠시 실험은 사람들이 시간에 대한 지각의 차이를 경험하는 것을 연구한 실험으로, 1960년대에 실시되었습니다. 실험은 다양한 연령대와 직업을 가진 참가자들에게 짧은 시간동안 일상 활동을 하는 과제를 수행하도록 했습니다. 실험 시작 전에 참가자는 자신의 일상활동을 설명하는 양식을 작성했고, 이를 기반으로 실험 진행됐습니다. 일상활동이 끝나면 참가자들은 그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느낀 시간과 실제로 경과된 시간을 추정했습니다. 실험 결과, 사람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시간의 경과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참가자들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시간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8. 톰슨의 단어링 스트레스 실험
톰슨의 단어링 스트레스 실험은 언어와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고안된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단어 목록을 기억하고 특정 조건에서 리콜을 시도하게 된다. 실험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먼저, 참가자들에게 단어 목록이 제시된다. 그 후, 참가자들은 단어 목록을 외우고 난 후에 다른 활동을 하게 된다. 이후에 참가자들은 리콜을 시도하며 본 실험의 목적은 단어 목록을 외우면서 겪는 스트레스가 어떻게 리콜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우리는 스트레스가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인간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9. 콘폐어 벨트 실험
콘폐어 벨트 실험은 1961년에 행해진 심리학 실험이다. 이 실험은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과 성격 형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실험은 사회심리학자 레오니드 하르리그와 제인 엘린지에 의해 설계되었다. 실험에서는 참가자로부터 하게 된 과제가 콘폐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행되었다. 벨트 위에는 물건들이 놓여져 있었고, 참가자는 이 물건들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해야 했다. 실험 결과, 사람들이 콘폐어 벨트 위에 놓인 물건들을 어떤 식으로든 분류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패턴을 찾으려고 하는 본능적인 성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콘폐어 벨트 실험은 인간의 행동 및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며, 심리학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0. 스노우덴의 사각실 실험
스노우덴의 사각실 실험은 1971년 미국 스탠퍜 대학에서 실시된 실험이다. 이 실험은 사회적 충동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사각실’ 안에서 감옥 수감자나 간수 역할을 맡아야 했으며, 실험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역할을 배정받았다. 간수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은 감옥 수감자 역할을 하는 사람들을 억압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등의 행동을 하였고, 이는 사회적 권위에 대한 복종심과 집단 안에서의 역할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었다. 스노우덴의 사각실 실험은 인간의 행동이 주어진 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며,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실험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관련 링크
10가지 심리학 실험으로 알아보는 인간의 의미 있는 선택 – 생활활력소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10가지 심리학 법칙 (上) – 요즘IT
어쩌다 UX_08. 10가지 UX 심리학 법칙 – 취향존중 – 티스토리
심리학을 변화시킨 40가지 연구 – 네이버 블로그
[Book Review] UX/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_존 야블론스키 지음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